국가기술 자격증-대기환경기사

대기환경기사

대기환경기사

서론

안녕하세요~오늘 가져온 자격증은 대기환경기사입니다.
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생산기술이 발전하면서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산업이 발전하면,필연적으로 대기에 오염물질이 방출 될 수 밖에 없습니다. 필연적인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대기 오존층에 미치는 좋지않은 영향과 산성비까지 문제가 두루 발생하는 중입니다.

각 국가는 국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전해야하는 의무가 있기에 이를 관리 감독해야 합니다.
기업들 역시도 정책들을 준수해야 하고, 정부도 실황을 잘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전문인력들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중입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산업의 규모는 커질 것이기 때문에 괜찮은 비전을 가지고 있다 생각합니다.
고민하고 계신다면 굳이 더 길게 히실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대기환경기사 응시자격

대기환경기사-응시자격

 

대기환경은 굉장히 중차대한 문제입니다. 
당장의 환경도 마찬가지지만, 동시에 기업에 정책 문제로 큰 손실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떄문에 응시자격이 꽤나 까다로운 편입니다.

대졸의 경우, 대기 환경기사와 관련학과 혹은 동일 및 유사직무의 학력이 필수이며,
대학에 진학하지 않으신 경우 하위 자격증(ex(환경기능사)+실무경력 혹은 실무경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학력과 경력 도합 4년의 관련 직종의 공부 혹은 실무가 필요합니다.

대기 환경기사의 관련과목으로는,
대기과학과/대기환경과학과/지구환경학과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위와 관련된 학과만이 응시자격으로 인정도는 것은 아닙니다.
동일 및 유사직무의 기사 자격증을 보유 중이거나 4년제 대학을 졸업한다면 응시자격을 취득합니다.
관련된 동일 유사직무 분야로는 아래 과들이 있습니다.

  • 경영.회계 및 사무 분야 중 생산관리
  • 건설, 광업자원,기계,재료,화학,전기전자
  • 농림어업

사실 거의 모든 4년제 학과를 인정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면 응시자격을 왜 뒀나 싶으신 분들도 있겠지만 그건 시험의 난이도가 해결할 것입니다.
보통 모든 기사 자격증들은 관련전공을 깊게 공부하신 분들이 훨씬 유리합니다.

비전공자분들에게 개인적으로 권유드리자면, 하위자격증인 기능사 자격증 중에, 환경기능사가 있습니다.
환경기능사 중 대기환경을 한 과목으로 집중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술 자격증의 경우는 현장의 실무경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바로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셔도 되고, 기능사 자격증으로 먼저 취업을 하신 후 실무경력을 쌓으셔도 됩니다.
여러분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당연히 기사 자격증 역시 비전공자 분들이 열심히 준비하신다면 충분히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상황에 맞게 알맞은 도전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대기환경기사 검증범위

대기환경기사-검증범위

기 환경기사는 관련 분야의 가장 주축이 되는 전문 자격증인 만큼 검증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두 가지의 방법(필기형/실기형)으로 수험자를 검증합니다.
실기의 경우 업무의 특성 상 시험장에서 무엇인가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필답형으로 대체하니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론은 크게 5과목으로 이뤄져있습니다.

  • 대기오염개론
  • 연소공학
  • 대기오염방지기술
  •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 대기환경 관계 법규 

개인적으로 연소공학이 가장 어려운 파트라고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도 이는 화학공학 쪽에 가깝기 때문에 관련학과 전공 분들도 어려워하시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암기할 내용들도 많기 때문에 폭 넓은 공부를 요합니다.

합격기준은 총 평균 60점 도합 300점을 획득하시면 합격입니다
생각보다 낮은 기준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만, 실제 난이도는 그렇지 않은 점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조금 더 까다로운 조건이 있는데 바로 과락입니다.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이라면 평균과 관련없이 무조건 탈락이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조금 긍정적으로 생각해보자면, 
여러분은 20점을 여러분의 선호에 맞게 전략적으로 투자하실수 있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여러분이 잘하시는 과목에 좀 더 집중하시는게 효율이 좋습니다.
40점 맞을 수준으로 전체적인 공부를 해주시고 나머지는 선호과목에서 채워주시면 됩니다.

대기환경기사 독학 OR 인터넷강의

저는 개인적으로 기사 자격증은 독학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특히 대기 환경기사는 연소공학 파트 때문에 전공자 분들도 강의를 들으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관련학과 전공을 하셨다면 독학도 충분히 가능하니,
독학을 먼저 해보시고 결과를 확인 후 선택하셔도 늦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전공자분들은 무조건 인터넷강의로 시작하시는게 맞습니다.
기사 자격증은 전문성이 요하기 때문에 그 난이도 또한 상당합니다.

현재 다양한 곳에서 대기 환경기사의 인터넷 강의를 제공 중이니,
투자하신다는 마음으로 여러분의 스타일에 맞는 강의를 찾아서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단기합격을 목표로 하신다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커리큘럼을 잘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대기환경기사 시험일정

대기환경기사 시험일정

 

기사 자격증은 그 전문성에 비해 접근성이 좋은 편입니다.
1년에 3회 시험을 실시하는 중 입니다. 이정도면 4개월 한 번씩이니 나쁘지 않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초시에 원하는 결과를 받지 않으셨더라도 괜찮습니다.
바로 다음시험을 빡시게 준비하시면 됩니다.
다만 중간에 쉬는 텀을 두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여러분이 제대로 시험을 준비하신다면 충분히 3회차 내에 합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며

현재 취업이 굉장히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모든 곳이 그렇지는 않습니다.
전문적인 지식 혹은 기술을 요하는 직종들은 꾸준히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정분야를 깊게 공부하시면 충분히 좋은 결과를 얻으실 테니,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수험생활에 항상 행운이 따르길 바라겠습니다.
다음에도 좋은 자격증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시험의 주관처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의 링크입니다.
https://www.q-net.or.kr/man001.do?&gSite=Q&gId=

다양한 자격증 정보를 담은 블로그입니다.
https://licensefactory.co.kr/

 

1 thought on “국가기술 자격증-대기환경기사”

Leave a Comment